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최선 기자 나왔습니다.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'OOO의 운명' 누구의 운명일까요. 이재명 민주당 대표네요. <br><br>네, 이재명 대표가 중요한 시기마다 운명이라는 단어를 언급하고 있습니다.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(어제)] <br>"이제는 너무 큰 강으로 와버렸기 때문에 제 맘대로 뭘 어떻게 할 수가 없어요. 운명적 상황에 처한 거죠. 촛불혁명으로 현 권력까지 축출할 만큼 우리의 국민의 힘은 크고 위대합니다. 저는 그 힘을 믿어야지요." <br><br>이 방송 몇 시간 후, 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'불법 정치자금 수수' 혐의로 검찰에 구속됐습니다.<br><br>Q. 이 대표 그간 여러 번 위기가 있었지만, 어느 때보다 큰 압박을 받고 있는 것 같아요. <br><br>네, 이 대표는 대선 패배 이후 불체포 특권 챙기기라는 비판에도 6월 재보선에 출마해 당선됐는데요. <br> <br>곧이어 당대표에 도전했을 때 사법 리스크가 커지자 이렇게 운명을 말했습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(지난 7월)] <br>"언론, 권력, 뭐 정치권 다 미워해요 다 미워해. 저만 잡으면 그건 견디겠는데, 요즘은 제 가족들을 막 인질로 삼아서 하니까 힘들긴 합니다. 이것도 운명이죠. 뭐" <br><br>Q. 수사 압박이 심해지니 개인의 운명을 주로 말하는군요. 그 이전에는 어땠나요? <br><br>지난 3월 대선을 앞뒀을 때는 나라의 운명을 주로 언급했습니다.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(지난 3월)] <br>"3월 9일의 선택은 '윤석열이냐? 이재명이냐?'가 아닙니다. 바로 여러분들의 운명 아닙니까." <br><br>이 대표가 얘기한 운명이 어떤 식으로 나타날지 관심이 쏠립니다. <br> 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구속 일등공신?' 민주당이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 구속의 일등공신이라는 것 같은데, 이런 얘기가 왜 나온 거죠? <br><br>바로 이 장면 때문이죠.<br><br>[주철현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19일)] <br>"그러기도 하고. 지금 가면 이미 다 치웠잖아요." <br> <br>"이미 다 치웠다고요?" <br> <br>[주철현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19일)] <br>"치웠지. 안 치웠겠냐고. 생각을 해봐요. 안 그랬겠어?" <br> <br>[호승진 / 서울중앙지검 부부장검사 (지난 19일)] <br>"그 말씀은 굉장히 위험한 말씀인데요." <br><br>김용 부원장의 구속 사유가 '증거 인멸의 우려'죠.<br><br>법원이 발부한 압수수색 영장을 갖고 갔는데도 결국 집행을 못했고요. <br> <br>정치권 일각에서는 민주당이 압수수색을 막은 게 법원의 구속 판단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조국 흑서 공동저자인 서민 단국대 교수는 SNS에 "대놓고 증거를 인멸하겠다는 범죄자는 처음 본다. 그러니 민주당이 구속의 일등공신인 셈"이라고 썼습니다.<br> <br>Q. 민주당 지도부는 당사 압수수색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하던데요. 하지만 야당 내 분위기도 조금 달라지는 분위기인가요? <br><br>아직 일부이기는 하지만 민주연구원 압수수색에 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[박지원 / 전 국정원장 (어제, KBS라디오 '주진우 라이브')] <br>"민주당도 한없이 거부할 게 아니라 압수수색 영장을 수용해야 된다 이렇게 생각합니다. 민주당으로서는 억울하겠죠." <br> <br>[이상민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, CBS라디오 '한판승부')] <br>"몇 번 온 적도 없다고 한다면 그걸 다 보여주면 될 것 아닌가. 그랬으면 깨끗이 금방 끝날 일이고." <br><br>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받는 건 김용 부원장 개인이잖아요.<br><br>당이 앞장서 막다가 민주당의 일로 번지는 건 차단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. <br> <br>Q. 제1야당의 자존심이 걸린 문제니 압수수색에 응하는 건 쉬운 결정은 아닐 것 같은데요. <br><br>혼란을 겪는 민주당의 빈틈을 국민의힘이 파고들고 있습니다. <br> <br>"사법리스크에 뛰어들지 말고 민생으로 돌아오라"며 다른 의원들을 자극하고 있고요.<br> <br>김해영 전 민주당 의원은 이 대표를 향해 “이제 역사의 무대에서 내려와 달라”는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.<br> <br>유동규 전 본부장의 폭로까지 전해지면서 민주당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것 같습니다.(깊은고민) <br><br>Q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